5_hyun 2022. 6. 17. 14:12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805

 

2805번: 나무 자르기

첫째 줄에 나무의 수 N과 상근이가 집으로 가져가려고 하는 나무의 길이 M이 주어진다. (1 ≤ N ≤ 1,000,000, 1 ≤ M ≤ 2,000,000,000) 둘째 줄에는 나무의 높이가 주어진다. 나무의 높이의 합은 항상 M보

www.acmicpc.net

 

내 풀이(맞음)

n, m = map(int, input().split())
ary = list(map(int, input().split()))

start = 0
end = max(ary)
answer = 0

while (start <= end):
    mid = (start+end) // 2
    
    total = 0
    for i in range(n):
        if ary[i] > mid:
            total += ary[i] - mid
    
    if m > total:
        end = mid - 1
    else:
        start = mid + 1
        answer = mid
print(answer)

어제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다"에서 푼 문제와 굉장히 유사한 문제라서 쉽게 풀 수 있었다. 절단기의 범위는 0부터 가장 큰 나무의 길이이다. 따라서 start가 0, end는 가장 큰 나무의 길이로 두고 반복적인 이진 탐색을 해주면 된다. 그리고 일단 절단한 길이가 m보다 크면 그 절단기의 길이를 answer에 계속 기록하는 형태로 문제를 풀면된다.

 

-어제 풀었던 유사한 문제

https://shortcoding.tistory.com/220

 

떡볶이 떡 만들기

이 문제는 전형적인 이진 탐색 문제이자 파라메트릭 서치 유형의 문제이다. 파라메트릭 서치는 최적화 문제를 예/아니요로 답하는 문제인 결정 문제로 바꾸어 해결하는 기법이다. 이 문제 풀이

shortcoding.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