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짧은코딩

시각 본문

반응형

 

풀이법

이 문제는 모든 시각의 경우를 하나씩 세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왜냐면 하루는 24 * 60 * 60이라 86,400초이다. 즉 경우의 수가 100,000개가 되지 않아 하나씩 세도 시간 제한 2초 안에 문제를 풀 수 있다.

이런 유형은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검색하는 방법인 완전 탐색(Brute Forcing) 유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완전 탐색 알고리즘은 주로 전체 데이터 수가 100만 개 이하일 때 사용하면 적절하다.

 

교재 및 내 풀이

# H를 입력받기
h = int(input())

count = 0
for i in range(h + 1):
    for j in range(60):
        for k in range(60):
            # 매 시각 안에 '3'이 포함되어 있다면 카운트 증가
            if '3' in str(i) + str(j) + str(k):
                count += 1

print(count)

교재와 내 풀이는 비슷했다. 하지만 if문에서 나는 str(i) or str(j) or str(k)라고 써서 엉뚱한 답이 나왔다.

 

반응형

'코딩 테스트(Python)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개발  (0) 2022.05.10
왕실의 나이트  (0) 2022.05.08
상하좌우  (0) 2022.05.07
구현  (0) 2022.05.07
그리디-큰 수의 법칙  (0) 2022.05.04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