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태그된 유니온
- Promise
- CORS
- TS
- useAppDispatch
- 호이스팅
- 인터섹션
- CI/CD
- RTK Query
- 결정 알고리즘
- SSR
- recoil
- webpack
- 리터럴 타입
- Jest
- 투포인터
- 무한 스크롤
- tailwind
- async/await
- map
- dfs
- app router
- Cypress
- 반공변성
- ESlint
- React
- autosize
- 공변성
- 이분 검색
- 타입 좁히기
- Today
- Total
목록CI/CD (2)
짧은코딩

이번 글은 AWS CodeDeploy와 EC2에 코드를 올리는 법에 대해 다루겠다. 전반적인 흐름 git에서 main 브랜치에 push -> S3에 파일이 올라감 -> CodeDeploy를 통해 EC2에 파일 업로드 즉, S3 -> CodeDeploy -> EC2 이렇게 코드가 올라가는데, Github Actions를 통해 바로 EC2에 접근할 수 없고, CodeDeploy는 저장 공간이 없기 때문에 저런 단계를 거쳐야 한다. EC2에 CodeDeploy agent 설치 EC2에 CodeDeploy가 접근하여 파일을 업로드 할수 있도록 code deploy agent를 설치해야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ruby sudo apt-get install w..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Kakao I Cloud(이하 KIC)에서 배포를 했다. 이유는 KIC를 지원해 줬기 때문이다! 사실 처음 CI/CD를 제대로 해보는 느낌이라 삽질을 많이 했다. 그리고 이전에 배포를 제대로 해 본 적이 없으니 기본적인 3 티어 기반으로 배포를 해봤다. 이 중에서 나는 프론트엔드 부분을 배포했다. 아키텍처 설계도 우선 우리는 이런 식으로 3 티어 기반의 설계를 하고 CI/CD를 했다. 주요 사용 Tool은 Jenkins, Docker, Dockerhub, GitHub, Nginx 등이며, 깃허브에 main 브랜치에 push가 되면 자동으로 배포가 되게 설계하였다. key pair KIC를 이용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key를 발급받아야 한다. key를 발급받으면 pub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