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ap
- 인터섹션
- recoil
- async/await
- useAppDispatch
- 태그된 유니온
- 반공변성
- TS
- Cypress
- 결정 알고리즘
- tailwind
- 타입 좁히기
- 이분 검색
- CORS
- ESlint
- 무한 스크롤
- app router
- SSR
- React
- 공변성
- Jest
- RTK Query
- webpack
- autosize
- 리터럴 타입
- 투포인터
- 호이스팅
- CI/CD
- dfs
- Promis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웹팩 데브 서버 (1)
짧은코딩
웹팩 데브 서버(webpack dev server)
웹팩 데브 서버가 필요한 이유 그냥 웹팩을 사용하고 코드 수정을 하면 다시 빌드 명령어를 입력하고 실행해야 바뀐 내용이 반영된다. 하지만 웹팩 데브 서버를 사용하면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빌드하고 새로고침이 된다. 웹팩 데브 서버의 특징 웹팩 데브 서버를 사용해서 빌드를 하면 결과물이 파일 탐색기나 폴더에 보이지 않는다. 즉, 기존에 생기던 dist 폴더가 생기지 않는다. 이는 메모리에 빌드 결과를 저장하기 때문이다. 개발자 도구의 network 탭에 가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bundle.js가 보인다. 파일 입출력보다 메모리 입출력이 더 빠르고 자원이 덜 사용되어 효율적이다. package.json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specified\" ..
인프런, 유데미/webpack
2023. 2. 5. 0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