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짧은코딩

WebSocket 본문

인프런, 유데미/Slack 클론 코딩

WebSocket

5_hyun 2022. 7. 29. 16:03
반응형

webSocket

웹소켓은 실시간으로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한다. 이전까지는 프로트에서 요청을 보내고 서버에서 답을 주는 형식인 단방향 통신이었다. 하지만 웹소켓은 양방향 통신이다.

npm i socket.io-client@2

이렇게 설치하면 된다.

 

소켓을 컴포넌트와 서버와 연결하면 연결이 끊기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연결된 컴포넌트가 사라지면 소켓 연결도 끊긴다. 따라서 공통된 컴포넌트에 연결해야 한다. 화면이 없고 로직만 있는 경우에는 hooks 파일에다가 만들면된다. 하지만 화면이 들어가도 hooks에 사용할 수 있다.

 

-hooks/useSocket.ts

hook폴더에 새 파일을 만든다.

npm i -D @types/socket.io-client@1.4.35

그리고 이것도 설치한다. 에러가 발생해서 버전을 낮춰서 설치했다.

import io from 'socket.io-client';
import { useCallback } from 'react';

const backurl = 'http://localhost:3095';

//여러 workspace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ts에서는 빈 객체, 빈 배열에선 타입핑을 해야한다. key는 워크스페이스이다.
const sockets: { [key: string]: SocketIOClient.Socket } = {};
const useSocket = (workspace?: string) => {
  const disconnect = useCallback(() => {
    if (workspace) {
      sockets[workspace].disconnect();
      //연결 끊었는데 계속 관리 할 필요 없어서 삭제
      delete sockets[workspace];
    }
  }, [workspace]);
  if (!workspace) {
    return [undefined, disconnect];
  }

  sockets[workspace] = io.connect(`${backurl}/ws-${workspace}`);
  //서버에 hello라는 이벤트 이름으로 world라는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다.
  sockets[workspace].emit('hello', 'world');
  //서버에서 데이터가 오면 message에다가 데이터를 받는 콜백 함수이다.
  sockets[workspace].on('message', (data) => {
    console.log(data);
  });

  return [sockets[workspace], disconnect];
};

export default useSocket;

emit으로 보내고 on으로 받는다. 그리고 이벤트 명이 같아야 받는다.

socket는 범위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a 채팅방에서 보낸 채팅이 b 채팅방으로 가면 안된다. 따라서 범위가 중요하고 우리는 이것을

  const socket = io.connect(`${backurl}/ws-${workspace}`);

이 코드에서 구별해 줄 것이다. workspace마다 ws-sleact, ws-test 이런식으로 구분할 것이다.

ws-sleact에서 있다가 ws-test로 넘어가면 소켓을 끊고서 넘어가야 한다. 이렇게 안하면 채팅을 보내면 모든 사람들한테 데이터가 전송되어 보안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채팅방마다 소켓 맺고 끊음이 중요하다.

    socket.disconnect();

이렇게 disconnect하면 한 번 연결한 소켓을 끊는다.

 

https://github.com/ZeroCho/sleact/blob/master/API.md

 

GitHub - ZeroCho/sleact

Contribute to ZeroCho/sleact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마찬가지로 여기에 이벤트 명들이 있는데 백엔드 개발자와 협의해서 이름을 정해 사용하면 된다.

 

-socket

conected: true이여야 연결 상태

nsp: namespace

receiveBuffer, sendBuffer: 이 두 배열은 거의 항상 비어 있어야하는데, 만약 차 있으면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야 하는데 연결이 끊겨서 못 보내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socket.io는 연결이 다시 되면 sendBuffer에 쭉 모아놨다가 데이터를 보내준다. 반대로 서버쪽에서도 프론트로 보내줘야 하는 데이터를 receiverBuffer에 모아놨다가 연결되면 보내준다.

_callbacks: on했던 리스트들이 들어있다.

 

소켓이 연결되면 백엔드에서 소켓 아이디(sid)를 보내주고 프론트와 연결한다. 그리고 프론트에서는 ws-sleact로 연결하겠다고 알려준다.

2 3 2 3 보내는 것은 ping-pong이라고 하며 제대로 연결되었는지 확인 용으로 보내주는 것이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