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CORS
- 인터섹션
- useAppDispatch
- map
- 태그된 유니온
- React
- 호이스팅
- 반공변성
- 공변성
- 무한 스크롤
- TS
- dfs
- webpack
- RTK Query
- app router
- async/await
- CI/CD
- 투포인터
- ESlint
- Jest
- Cypress
- 타입 좁히기
- autosize
- recoil
- tailwind
- 리터럴 타입
- Promise
- 이분 검색
- 결정 알고리즘
- SSR
Archives
- Today
- Total
짧은코딩
헤더 고정 && 내용 "100% - (헤더 height)" 하는 법 본문
반응형
일단 tailwind css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지만 결국 어느 css를 사용하든 원리는 같다!
헤더 고정
<section className={'h-28'}>
<Header />
</section>
우선 헤더를 고정하기 위해서 위 코드처럼 h-28(7rem)으로 고정을 했다.
내용 "100% - (헤더 height)" 하는 법
<section className={'h-noneHeader'}>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login'} element={<Login />} />
<Route path={'/signup'} element={<SignUp />} />
</Routes>
</section>
여기서 noneHeader는 tailwind css를 custom한 style이다.
-tailwind.config.js
height: {
noneHeader: 'calc(100vh - 7rem)',
},
이렇게 calc를 사용해서 100vh - (헤더 height)를 하면 아래 오는 내용을 손 쉽게 가운데 정렬할 수 있다.
완성 코드
<section className={'h-28'}>
<Header />
</section>
<section className={'h-noneHeader'}>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login'} element={<Login />} />
<Route path={'/signup'} element={<SignUp />} />
</Routes>
</section>
이렇게 구성하면 어떤 해상도에서든 헤더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다. 그렇기에 초반에 Layout을 제대로 잡아주었다.
이런 구성에 대해서 늘 생각했지만 매번 귀찮다고 하지 않았다.
막상해보니 엄청 간단한 것인데 여태 시도하지 않은 것을 반성해야겠다..!
앞으로는 궁금한 점이 생기면 바로 시도해보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고 싶다!
반응형
'UpLog 릴리즈노트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UpLog 2주차 스크럼(23.07.10~23.07.14) (0) | 2023.07.25 |
---|---|
중첩 라우터 (0) | 2023.07.25 |
절대 경로 설정(Jest 포함) (0) | 2023.07.25 |
eslint 설정하기 (0) | 2023.07.25 |
React + Typescript + Vite + yarn berry + Tailwind css 세팅하기 (0) | 202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