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utosize
- 리터럴 타입
- 공변성
- 호이스팅
- Cypress
- React
- tailwind
- 결정 알고리즘
- CORS
- 무한 스크롤
- webpack
- 이분 검색
- RTK Query
- SSR
- 인터섹션
- useAppDispatch
- recoil
- TS
- CI/CD
- ESlint
- Jest
- map
- async/await
- Promise
- 반공변성
- 타입 좁히기
- dfs
- 투포인터
- app router
- 태그된 유니온
- Today
- Total
목록리액트 (32)
짧은코딩
stopPropagation() 현재 event가 캡처링/버블링 단계에서 더 이상 전파되지 않게 한다. 전파를 방지해도 이벤트의 기본 동작은 실행된다. 즉 링크나 버튼의 클릭을 막진 못한다. 이런 동작을 방지하려면 preventDefault()를 사용한다. e.preventDefault()와 e.stopPropagation() 차이 -e.preventDefault() from 안에서 submit 같은 동작을 할 때 e.preventDefault()가 그 동작 중단한다. -e.stopPropagation() $(".last-el").click(function(e){ e.stopPropagation(); alert("last-el"); }); $(".third-cover").click(function(){ ..
npm 우선 npm은 Node Package Manager이다. JS를 위한 패키지 관리 툴이다. npm은 Node.js에 내장되어 있다. 결국 이런 관리 툴인 npm을 이용해서 공개되어 있는 모듈을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package.json package.json은 프로젝트 정보와 의존성을 관리한다. 어떤 패키지를 사용하고 버전도 확인이 가능하다. yarn yarn은 npm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만 yarn이 좀 더 가볍다. yarn은 페이스북에서 만든 JS 패키지 매니저이다. yarn은 npm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든 매니저 툴이다. npm의 단점으로는 속도(performance), 안정성(stability), 보안성(security) 등이 문제이다. -속도 따라서 yarn은 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