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RTK Query
- 태그된 유니온
- useAppDispatch
- 이분 검색
- 투포인터
- SSR
- 리터럴 타입
- map
- autosize
- 공변성
- 인터섹션
- recoil
- dfs
- 무한 스크롤
- React
- 반공변성
- Promise
- Cypress
- ESlint
- 결정 알고리즘
- webpack
- app router
- 타입 좁히기
- async/await
- CI/CD
- TS
- tailwind
- 호이스팅
- Jest
- CORS
- Today
- Total
목록CS (25)
짧은코딩
CPU는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명령어를 실행할 뿐이다. 메모리 계층 메모리는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저장장치로 구성된다. -레지스터 CPU 안에 있는 작은 메모리이다. 휘발성 속도: 빠름 기억 용량: 가장 적음 -캐시 L1, L2 캐시이다. 휘발성 속도: 빠름 기억 용량: 적음 -주기억장치 RAM을 가리킨다. 휘발성 속도: 보통 기억 용량: 보통 -보조기억장치 HDD, SSD를 말한다. 비휘발성 속도: 느림 기억 용량: 많음 캐시(cache) 캐시는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두는 임시 저장소이다. 그리고 장치간의 속도 차이에 따른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실제로 메모리와 CPU 사이의 속도 차이가 너무 커서 레지스터 계층을 이용해서 속도 차이를 해결한다. => 이렇게 계층과 계층 사이에 있는 것을 캐시..
네트워크 분류 -LAN(Local Area Network) LAN은 사무실과 개인적으로 소유 가능한 규모이다. LAN은 근거리 통신망을 의미하고 캠퍼스 같은 좁은 공간에서 운영된다. 전송 속도가 빠르고 혼잡하지 않다.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MAN은 서울시 같은 시 정도 규모이다. 대도시 지역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도시 같이 넓은 지역에서 운영된다.전송 속도는 평균이고 LAN보다는 더 혼잡하다. -WAN(Wide Area Network) WAN은 세계 규모이며 광역 네트워크이다. 국가나 대륙 같은 더 넓은 지역에서 운영된다. 전송 속도는 낮고 MAN보다 더 혼잡하다.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 애플리케이션엔 문제가 없는데 데이터를 못 가져오는 경우가 있다. 이는 네트워크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UcNj/btrGVkXxmEW/zacsX0YFohexutpBSKfS3k/img.jpg)
데이터베이스(DataBase)는 일정한 규칙, 규약을 통해 구조화되어 저장된 데이터 모음이다.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는 DB를 제어,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이다. DB 안에 있는 데이터들은 특정 DBMS마다 정의된 쿼리 언어(query language)를 통해 삽입, 삭제, 수정, 조회 등이 가능하고 DB는 실시간 접근, 동시 공유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MySQL이라는 DBMS가 있고 Node.js, php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서 DB안에 있는 데이터를 꺼내 데이터 관련 로직을 구축할 수 있다. 엔티티(entity) 엔티티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 여러 개의 속성을 지닌 명사를 의미한다. 엔티티는 서비스 요구 사항에 맞춰 속성이 정해진다. 만약 주소라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MuV5/btrGKdEVBvr/QhTPnZPs0r0XH9gZZq252k/img.jpg)
운영체제의 역할과 구조 -운영체제의 역할 1. CPU 스케줄링과 프로세스 관리: CPU 소유권을 어떤 프로세스에 줄지, 프로세스 생성과 삭제, 자원 할당 및 반환을 관리 2. 메모리 관리: 한정된 메모리를 어떤 프로세스에 얼만큼 할당 할지 관리 3. 디스크 파일 관리: 디스크 파일을 어떤 방법으로 보관할지 관리 4. I/O 디바이스 관리: I/O 디바이스들인 마우스, 키보드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을 관리 -운영체제 구조 여기서 GUI, 시스템콜, 커널, 드라이버가 운영체제이다. 리눅스 서버는 GUI가 없고 CUI만 있다. GUI: 사용자와 장치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 마우스로 클릭하면서 컴퓨터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드라이버: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fkPT/btrGHmtMTFH/hIi2S2VkpftUAAVnaRJTI0/img.jpg)
네트워크는 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거나 연결되지 않은 집합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노드란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를 의미하고 링크는 유선 혹은 무선을 의미한다. 처리량과 지연 시간 좋은 네트워크란 많은 처리량을 처리 할 수 있고 지연 시간이 짧고 장애 빈도가 적으며 좋은 보안을 갖춘 네트워크를 말한다. -처리량(throughput) 처리량은 링크를 통해 전달되는 단위 시간당 데이터양을 말한다. 단위로는 초당 전송/수신되는 비트 수라는 의미의 bps(bits per second)를 사용한다. 처리량은 이용자가 많아질 때 커지는 트래픽, 네트워크 장치 간의 대역폭,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에러, 하드웨어 스팩에 영향을 받는다. 대역폭(bandwidth):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