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Slint
- 호이스팅
- 무한 스크롤
- recoil
- Promise
- 투포인터
- webpack
- 태그된 유니온
- tailwind
- 반공변성
- app router
- 공변성
- 리터럴 타입
- 결정 알고리즘
- map
- 타입 좁히기
- SSR
- CI/CD
- React
- 인터섹션
- Jest
- CORS
- useAppDispatch
- autosize
- Cypress
- 이분 검색
- TS
- async/await
- dfs
- RTK Query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510)
짧은코딩
코드 function solution(arr) { let answer = 0; let dy = Array.from({ length: arr.length }, () => 0); dy[0] = 1; for (let i = 1; i = 0; j--) { if (arr[i] > arr[j]) max = Math.max(dy[j], max); } dy[i] = max + 1; } answer = Math.max(...dy); console.log(dy); return answer; } 해결 방법 맨 처음있는 5까지만 본다치면 최대 길이는 1이다. 두번째 3은 첫번째 5 다음으로 올 수 없어서 최대 길이는 1이다...
코드 function solution(n) { let answer = 0; let dy = Array.from({ length: n + 1 }, () => 0); dy[1] = 1; dy[2] = 2; for (let i = 3; i
TS와 JS TypeScript는 JavaScript의 상위 집합이다. 즉 JS로 작성된 코드는 TS가 되지만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 그리고 TS에는 타입 체커가 있는데 이 타입 체커가 문제점을 찾아준다. 예시 let city = 'new york city' console.log(city.toUppercase()) 함수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코드이다. 원래는 toUpperCase()인데 타입 체커는 이런 오타 같은 문제점을 찾아준다. interface State { name: string capital: string } const states: State[] = [ { name: 'Alabama', capitol: 'Montgomery' }, { name: 'Alaska', capitol: 'Jun..
CPU 스케줄러는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프로세스에게 일을 스레드 단위로 할당한다. 즉, 어떤 프로그램이 CPU 소유권을 가질 것인지 결정한다. CPU 스케줄링 알고리즘 방식으로는 크게 비선점형과 선점형 방식이 있다. -CPU 스케줄러의 목표 1. CPU 이용률을 최대치로 사용 2. 주어진 시간에 최대한 많은 일을 하도록 함 3. ready queue에 프로세스가 적도록 함 4. 응답 시간을 짧게 설정함 비선점형 방식(non-preemptive) 프로세스가 스스로 CPU 소유원을 포기할 수 있고 강제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없다. 그렇기에 컨텍스트 스위칭으로 인한 부하가 적다. 비선점형 방식에는 FCFS, SJF, 우선순위가 있다. FCFS(First Come, First Served) 가장 먼저 ..
configureStore.js import { createWrapper } from "next-redux-wrapper"; import { applyMiddleware, compose, createStore } from "redux"; import { composeWithDevTools } from "redux-devtools-extension"; import createSagaMiddleware from "redux-saga"; import reducer from "../reducers"; import rootSaga from "../sagas"; const loggerMiddleware = ({ dispatch, getState }) => (next) => (action) => { console.l..
인접행렬(비효율) 코드 function solution(n, arr) { let answer = 0; let ch = Array.from({ length: n + 1 }, () => 0); let dy = Array.from(Array(n + 1), () => Array(n + 1).fill(0)); for (let i = 0; i Array()); for (let [a, b] of arr) graph[a].pu..
코드 사이트 https://joshua1988.github.io/webpack-guide/getting-started.html#%EC%9B%B9%ED%8C%A9-%EB%A7%9B%EB%B3%B4%EA%B8%B0-%ED%8A%9C%ED%86%A0%EB%A6%AC%EC%96%BC 웹팩 맛보기 | 웹팩 핸드북 웹팩 맛보기 튜토리얼 그럼 이제 웹팩을 가볍게 맛볼수 있는 튜토리얼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이번 튜토리얼로 웹팩을 실행할 수 있는 개발 환경을 구성하고 빌드 과정을 경험해볼 수 있을 것입 joshua1988.github.io 이 사이트의 코드를 예제로 사용했다. 동작의 원리 package.json 및 dist webpack을 설치하고나서 package.json에 "scripts": { "test": "ech..
webpack(웹팩) 웹팩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모듈 번들러(Module Bundler)이다. 모듈 번들러는 HTML, CSS, JS 등의 파일을 각각 모듈로 보고 모든 모듈을 조합해서 하나로 만드는 도구를 의미한다. 모듈 function sum(a, b) { return a + b; } export { sum } 모듈은 위 코드처럼 기능을 갖는 작은 단위의 코드이다. 웹팩에서는 HTML, CSS, JS, 이미지, 폰트 등이 각각 모듈이다. 모듈 번들링 모듈 번들링은 여러 자원들을 하나의 파일로 병합 및 압축해주는 동작을 의미한다. (빌드, 번들링, 변환은 모두 같은 의미이다.) -참고 페이지 https://joshua1988.github.io/webpack-guide/webpack/wha..
코드 function solution(n, m) { let answer = []; let temp = Array.from({ length: m }, () => 0); function DFS(L, s) { if (L === m) answer.push(temp.slice()); else { for (let i = s; i
코드 function solution(n, f) { let answer, flag = 0; let dy = Array.from(Array(11), () => Array(11).fill(0)); let ary = Array.from({ length: n }, () => 0); let b = Array.from({ length: n }, () => 0); let ch = Array.from({ length: n + 1 }, () => 0); function comb(n, r) { if (dy[n][r] > 0) return dy[n][r]; if (n === r || r === 0) { return 1; } else { return (dy[n][r] = comb(n - 1, r - 1) + comb(n - ..